1회 요금 충전으로 30일간 대중교통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기후동행카드가 흥행 중입니다. 기후동행카드 신청방법을 손쉽게 알려드리겠습니다. 아래 글을 천천히 읽어보시고 내가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기후동행카드 주요 내용
기후동행카드란 1회 요금 충전으로 30일간 대중교통(지하철, 버스, 따릉이)을 무제한 이용가능한 정기권입니다. 주요 내용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사업기간 : 2024년 1월 27일(토) ~ 6월 30일(일)
- 이용범위 : 서울지역 지하철, 서울시 면허를 가지고 있는 시내버스와 마을버스, 따릉이
- 이용불가 : 신분당선, 서울지역 이외 지하철, 광역버스와 공항버스, 서울지역 이외 면허 버스
기후동행카드 가격은 월 6만 2천원(따릉이 제외)와 6만 5천원(따릉이 포함) 2가지로 나뉩니다. 카드충전시 충전일로 부터 5일 이내에 사용개시일 선택이 가능합니다. 하차 미태그 2회 누적시 24시간 동안 사용이 중지됩니다. 아래 내용을 잘 확인하셔서 미태그 하는 일이 없도록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기후동행카드 사용 가능 지하철 노선 알아보기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지하철 노선은 다음과 같습니다.
1호선 | 온수/금천구청~도봉산 | 9호선 | 전구간 |
2호선 | 전구간 | 우이신설선 | 전구간 |
3호선 | 지축~오금 | 신림선 | 전구간 |
4호선 | 남태령~당고개 | 공항철도 | 김포공항~서울역 |
5호선 | 방화~강일/마천 | 경의중앙선 | 수색~양원/서울역 |
6호선 | 전구간 | 경춘선 | 청량리~신내 |
7호선 | 온수~장암 | 수인분당선 | 청량리~복정 |
8호선 | 전구간 |
예외적으로 서울지역에서 승차한 뒤,4호선(별내별가람~진접), 5호선(미사~하남검단산), 7호선(석남~까치울), 김포골드라인(전구간), 진접선(전구간)에서 하차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기후동행카드 지하철역을 잘못 알고 타면 하차역에서 역무원에게 추가요금을 내야 합니다. 그러니 내가 다니는 지하철역이 대상인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아래 배너를 클릭하면 간단하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기후동행카드 사용 가능 버스노선 알아보기
서울시 면허를 가지고 있는 시내버스와 마을버스에서 기후동행카드 사용이 가능합니다. 서울 파란색 버스, 초록색 버스 라면 서울 지역이 아닌 곳에서 승하차하더라도 기후동행카드가 사용 가능합니다!!
※ 서울시 면허 버스 구분 방법
* 파란색 버스
- 노선번호 3자리 간선
- 노선번호 02, 04, 05 인 동행
- 파란색 심야
* 초록색 버스
- 노선번호 4자리
- 서울마을버스, 순환버스
아래 배너를 클릭하면 간단하게 버스노선 확인이 가능하니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기후동행카드 신청 방법
기후동행카드는 모바일카드와 실물카드 2종이 있습니다.
모바일카드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만 사용 가능하며, 모바일티머니 어플을 접속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아래 배너를 클릭하면 모바일티머니 안드로이드 어플을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기후동행카드 실물카드는 서울교통공사(1~8호선) 고객안전실과 인근 편의점에서 구매 가능합니다. 가격은 3,000원이며 구매 후 역사 내 무인충전기에서 충전하여 사용 가능합니다. 실물카드 구매 후에는 티머니 홈페이지에서 등록해야합니다.
사용하지 못한 잔액은 환불할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500원이며 대중교통 실사용액을 차감하고 환불액을 지급합니다. 환불방법은 '모바일티머니' 어플을 실행하여 환불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