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역전세 뜻과 대처방법! 준비안하면 전세금 날림! | 전세보증보험 신청가능여부 알아보기

by 까명 2023. 7. 12.

부동산 가격이 1~2년 전보다 하락하면서 역전세 우려가 많은데요. 역전세의 정확한 뜻을 확인하고, 역전세가 우려될 때 할 수 있는 대처방법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역전세 뜻 역전세 대처방법 알아보기

 

 

 

1. 역전세란?

역전세란, 이전에 맺었던 전세 계약금보다 현재 전세 계약금이 낮은 경우를 말합니다. 즉, 전세 계약 갱신시 전세금이 낮아져서 집주인이 돌려줘야하는 금액이 늘어난 경우를 말합니다.

 

예시) 2021.1.1에 A아파트 5억원에 전세 계약을 하였습니다.

이후 2023.1.1 현재 A아파트 전세 시세는 4억원이라면, 역전세로 인해 집주인이 세입자에게 1억원을 돌려줘야 합니다. 

 

 

2. 역전세의 원인

역전세의 다양한 원인이 있겠지만, 가장 큰 요소는 대출금리 인상입니다. 대출금리가 빠른 속도로 높아지면서 대출이자 부담이 증가했고 이로 인해 부동산 가격이 전반적으로 하락하면서 역전세가 발생했습니다.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다보니 자연스럽게 전세가격도 하락하여 이전 전세계약금보다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하였습니다.

 

 

3. 역전세 대처방법

역전세를 대처하기 위해 여러 방법이 있을텐데요. 대표적인 것을 말씀드리겠습니다.

 

(1) 전세보증보험 가입

주택도시보증공사(HUG), 한국주택금융공사(HF), SGI서울보증 등에서 전세보증보험을 가입할 수 있습니다. 각 회사별로 전세보증보험 한도나 가입요건이 다르니 살펴보시고 가입하시기 바랍니다.

 

전세보증보험 신청 가능여부

 

(2) 집주인과 세입자간의 커뮤니케이션

역전세가 우려되는 집주인이나 세입자라면 통상적인 계약갱신기간보다 먼저 연락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해야합니다.

 

세입자는, 다른 곳으로 이사를 갈지 또는 현재 전세계약금을 낮춰달라는 요구를 분명히 해야합니다. 그래야 집주인도 나름의 계획을 세우고 준비할 수 있습니다.

 

집주인은, 세입자에게 이사할지 또는 전세계약을 갱신할지 물어봐야 합니다. 세입자가 이사를 한다고 말하면 다음 전세계약을 위해 집구경을 원활하게 시켜달라는 요구도 함께 해야됩니다.

 

(3) 가능하면 낮은 전세계약으로 진행

전세계약금을 2년뒤에 돌려받는다고 가정하여 비싼 전세임에도 계약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역전세 등 미래의 어떤 상황이 발생할지 모르므로 같은 조건이라면 전세금을 낮출수록 좋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