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직장인이 개인연금 중 연금저축을 가입해야 하는 이유(박곰희TV 간단요약)

by 까명 2022. 10. 8.

젊은 시절 청춘을 바쳤던 직장생활이 끝나면 이제 무엇을 해야 할까요? 나이가 들어서 새로운 직장을 찾으려면 쉽지 않은 게 현실인데요. 미리 노후준비를 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인 연금저축을 공부해보시죠.

연금저축

1. 노후준비를 해야 하는 이유?

요즘 시대에는 최소 100살까지 살아야 합니다. 재수 없으면 120살까지 산다는 농담도 있는데요. 그렇지만 평범한 사람이라면, 일을 할 수 있는 나이는 55~60세까지입니다. 즉, 남은 인생의 절반을 노인으로 살아야 합니다. 30년 정도 일해서 70년을 버텨야 하는 어려운 상황이죠.


읽다가 이런 생각이 드실 겁니다.
(예시) 에이, 나중 가면 어떻게든 되겠지?
지금도 바빠 죽겠는데 20~30년 뒤에 일을 지금 고민하고 있냐!


그렇지만 요즘 노인분들을 보면 이렇습니다.
(현실) 지금 65세는 동호회에서 축구하시고 배드민턴이나 탁구도 많이 치십니다. 그리고 여유되시면 골프도 많이 치러 다니십니다. 그렇지만 노인정은 못 갑니다. 왜냐면 너무 어려서 노인정에서 막내 해야 하거든요.

2. 적정 노후준비란??

당연히 많으면 많을수록 좋겠지만, 적정 생활비로 월 200만원 이상은 필요한 것으로 보입니다.

2022기준 은퇴 후 적정 생활비
2022 신한은행 미래설계보고서 참고


(독자 시점) 말도 안 돼. 무슨 수로 매월 200만원을 어떻게 받아요??

(답변)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3총사를 활용하시면 됩니다.
1) 국가에서 보장하는 국민연금
2) 회사에서 보장하는 퇴직연금
3) 개인이 준비하는 개인연금
목표 : 3개 합쳐서 매월 200만원 연금 만들기

(현실) 개인마다 다르겠지만 국민연금 + 퇴직연금 = 대략 월 100만원 수준이 평균이라고 합니다.
즉, 개인연금 없으면 적정 생활비가 모자라게 됩니다.

물론 부동산 투자를 잘하셔서 월세를 받으시거나, 주식투자를 잘하셔서 배당을 받으셔도 됩니다. 자식이 용돈을 드리면 완전 땡큐구요. 그렇지만 세상 모든 사람이 투자를 잘할 수는 없잖아요. 적당히 평균만 해도 먹고살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연금저축을 가입하자. (연금보험 아님, 변액연금 아님)

 

 

3. 연금저축 혜택이 뭔가요?

연말정산 시 세액공제를 해줍니다. 국가에서 개인에게 노후준비를 하라는 취지에서 혜택을 준 것인데요. 연소득 5500만원 이하의 직장인이 연금저축을 400만원 납입했다고 가정하면, 66만원을 돌려받습니다. (66만원 = 400만원 * 16.5%)

연금저축, IRP 세액공제표
연금저축, IRP 세액공제표

연금저축 참고사항

연금저, IRP 가입조건, 연금수령조건 비교
연금저축과 IRP 비교

 

4. 연금저축의 종류

은행에서 가입하면 연금저축신탁
* 은행 → 예금이율
보험에서 가입하면 연금저축보험
* 보험 → 공시이율
증권에서 가입하면 연금저축펀드
* 증권 → 펀드 직접 선택(고객마다 수익률이 상이함)

펀드를 잘 모르겠으면 MMF로 일단 넣어두고 공부한 뒤 펀드 변경하기.
MMF : Money Market Fund의 줄임말. 짧은 기간 넣어놔도 이자를 주는 예금 같은 느낌의 펀드.


사람들이 요즘 많이 가입하는 게 뭔가요?
→ 연금저축펀드입니다.

5. 연금저축펀드 장점

1. 자유납입이라서 매월 얼마씩 무조건 납입하지 않아도 됩니다.
→ 매월 34만원씩 12개월을 자동 이체해도 되고, 한 번에 400만 원 채워도 됩니다. 심지어 안내도 됩니다.(세액공제는 없겠지만요)

2. 은행의 예금이율, 보험의 공시이율은 수익률이 낮은데요. 연금저축펀드는 좋은 펀드를 운용하여 수익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단, 원금손실 가능성 존재)

3. 연금저축보험에 비해 운용 수수료가 상대적으로 저렴합니다.
(연금저축보험은 원금도달이 5년 이상 걸림)

4. 내가 펀드를 선택해야 하니 경제공부를 하게 됩니다. (미국 지수 추종 펀드를 사보자 등)

6. 연금저축펀드 단점

1. 펀드 손실 시 원금손실 가능성이 있습니다.
→ 포트폴리오를 잘 구성한다면 연금저축신탁, 연금저축보험 대비 수익률이 높을 수도 있습니다.

2. 연금저축 해지 시 받았던 세액공제 혜택을 뱉어야 합니다.(연금저축 공통)
→ 해지하지 마시고 급전이 필요하시면, 연금저축 담보대출을 활용하면 됩니다. (평가액의 60% 정도 담보대출이 가능합니다. 단, 담보대출을 금융사에서 제공하는지 확인해봐야 합니다.)


※ 내용 요약(내가 할 일)
1. 연금저축 개설
2. 매년 400만원 입금
3. 매년 세액공제받기
4. 노후에 연금 신청(55세 이후)
* 신한은행 미래설계보고서 읽기

 


https://plan4u.shinhan.com/common/html/report.php

 

신한은행 연금도서관 : 신한 미래설계 보고서

신한은행 연금도서관 : 신한 미래설계 보고서

plan4u.shinhan.com



https://youtu.be/4wt9xB9KV6A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