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대는 보통 짧게는 5년에서 길게는 10년 이상까지 사용합니다. 그러다 보니 내가 골랐던 침대여도 어떤 기준으로 결정했었는지 기억이 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요.
침대 고를 때 알아두면 좋고, 모르면 손해인 침대 기본지식에 대해 말해보겠습니다.
1. 매트릭스도 양모가 좋다.
가디건이나 니트 같은 옷을 고를 때에도 울 함량을 확인하는데요. 울 함량이 높을수록 좋은 퀄리티의 옷으로 판단합니다.
이는 침대도 마찬가지입니다. 양모로 만들어진 매트릭스와 일반적인 소재로 만들어진 매트릭스는 차이가 있습니다.
그래서 매트릭스를 비교하실때는 다른 브랜드여도 같은 조건으로 비교하셔야 합리적인 선택이 가능합니다.
즉, A브랜드의 양모 매트릭스와 B브랜드의 일반 매트릭스를 단순히 가격만 보고 비교하는 건 비합리적입니다. 양모와 양모가 아닌 매트릭스는 기준과 클래스가 많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 참고사항
양모는 보온성과 통기성이 좋은 소재로써, 여름엔 더운 공기를 막고 겨울엔 찬 공기를 막아 보온성을 확보합니다. 또한, 사람은 미세하게 땀을 항상 흘리는데 통기성이 좋다면 긴 시간 수면 시 몸에 있는 땀을 증발하게 도와줍니다.
2. 프레임 재료(천연목,MDF)
프레임은 수면 시 직접적인 접촉은 없지만 침대가 긴 시간 사용하다 보니 신경이 쓰이는 부분인데요.
당연하게도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천연목이 좋습니다. 아무래도 더 튼튼하고 환경적인 측면에서 좋겠습니다.
침대 프레임에는 MDF 소재도 있는데요. MDF란 나무가루를 뭉치고 그 위에 시트지를 붙여 깔끔하게 표현한 가구형태입니다. 소재 특성상 상대적으로 천연목보다 덜 튼튼할 수밖에 없습니다.
※ 침대 프레임은 몸에 직접적인 접촉이 없는 가구다 보니 디자인과 소재, 가격을 판단하셔서 인터넷에서 취향대로 주문하셔도 큰 문제가 없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오프라인에 디스플레이된 상품은 품질에 그만큼 자신이 있는 제품이라는 것도 함께 고려해주세요!
3. 매트릭스 강도 고르기(하드, 미디엄, 소프트)
수면 시 가장 중요한 점은 매트릭스 강도인데요. 가장 중요한 것은 나에게 맞는 매트릭스를 찾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제일 좋은 건 역시 많은 매트릭스를 직접 체험해보는 것이겠습니다.
그렇지만 나름의 가이드를 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뒤척임이 많은 사람이라면 푹신한 매트릭스는 피하는 게 낫다. 왜냐하면 푹신한 매트릭스는 수면 시 뒤척일 때 자유로운 뒤척임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적당히 강도가 있는 제품이 더 나을 수 있습니다.
(2) 마른 분이라면 푹신한 매트릭스부터, 무게가 나가신다면 단단한 매트릭스부터 찾으시길 권유합니다. 왜냐하면 침대에 누웠을 때 몸의 자세가 1자로 되는 게 중요한데, 무게에 따라 적합한 매트릭스 강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 매트릭스 강도와 가격
마지막 참고사항입니다. 매트릭스를 단단한 것으로 생각하는 분들은 너무 비싼 제품을 찾지 않으셔도 됩니다. 보통 하이엔드 제품은 푹신함을 어필하여 판매하기 때문에 비싼 제품이지만 나에게 적합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 브랜드의 이해(ㅁㅁ코리아)
요즘 환율이 급등하고 인플레이션이 피부로 느껴지고 있는데요. 마치, 애플코리아처럼 외국에 본사를 둔 기업들은 환율과 인플레이션을 이겨내기 위해 제품의 가격을 계속해서 올리고 있습니다.
침대의 특성상 기술의 혁신적인 발전이 있기 어려운데요. 몇 년 사이에 동일한 제품이 가격만 급등하였다면, 합리적인 소비가 맞는 것일지 고민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