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할 것 같던 직장생활이 끝나면, 이제 어떻게 먹고살아야 할까요? 누구나 나이가 들며, 모두 언젠가는 퇴직을 합니다. 그래서 반드시 필요한 게 노후준비인데요. 노후준비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IRP제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IRP란 무엇일까요?
IRP란 개인형 퇴직연금(individual retirement pension)의 줄임말인데요. 근로자의 퇴직금을 자신 명의의 퇴직 계좌에 적립해 연금 등 노후자금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제도입니다.
2. IRP 퇴직연금 가입 및 가입목적
IRP 퇴직연금은 소득이 있는 대상이면 가입가능한데요. 퇴직하지 않아도 누구나 개설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연금저축과 다르게 소득이 없으면 가입이 불가능합니다.(애기, 전업주부 등)
IRP의 가입목적은 크게 2가지인데요. 첫째는, 직장에서 퇴직금을 받기 위함입니다. 현재는 퇴직금을 IRP계좌로만 수령 가능합니다. 둘째는, 미리 노후준비도 하면서 연말정산 시 세제혜택도 함께 받기 위해 가입합니다.
3. IRP 퇴직연금 세액공제 한도(가입혜택)
통합한도 1800만원 중 IRP를 통해 최대 세액공제 900만원까지 가능합니다. 연금저축을 가지고 있다면 연금저축 한도 600만원을 제외한 300만원이 IRP 한도입니다. (잘 모르겠으면 IRP, 연금저축 둘중에 하나라도 가입하시면 됩니다.)
* 가입예시
연금저축 매월 50만원 → 1년 600만원
IRP 매월 25만원 → 1년 300만원
연소득이 6,000만원인 직장인이라면, 118.8만원을 세액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
(900만원 * 13.2% = 118.8만원 만큼 연말정산 시 세금을 돌려받는다는 의미)
4.IRP 퇴직연금의 상품운용
IRP 퇴직연금에서 운용 가능한 상품의 종류로는 예금, 연금펀드, 채권, 주가연계증권주가연계 증권(ELS), ETF, 리츠 등이 가입 가능합니다. (쉽게 예금, 펀드를 사서 돈을 불린다고 보시면 됩니다)
첫 번째 특징으로는 개별주식은 매수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아무래도 IRP계좌의 특성상 개별주식은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대상에서 제외한 것으로 보입니다.
두 번째 특징으로는 주식형 자산을 70%까지의 한도로 제한이 되어있습니다. 이 역시 IRP의 특성상 자산배분을 통해 노후준비를 하라는 의미겠죠.
5. IRP 장점
(1) 세액공제가 900만원 가능합니다. 즉, 세제혜택을 받으며 한 개 계좌에서 한 번에 관리하고 싶다면 IRP가 유리합니다.
(2) 원금보장 상품으로 포트폴리오 구성 가능합니다. 원금보장 상품으로 가입할 거면 뭐 하러 가입하냐고 궁금하실 수 있는데요. 퇴직이 얼마 안 남으신 경우에 남는 자금을 IRP로 관리하신다면 확정수익(세액공제)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3) IRP 계좌 내의 수익금은 수익에 대한 과세가 이연 됩니다. 수익에 대한 과세가 이연 되면 복리효과로 인해 계좌가 불어날 수 있습니다. (과세가 이연 된다는 건 세금을 나중에 낸다는 말입니다. 직장인일 때 세금을 안 내다가 퇴직연금으로 받을 때 소득세를 내거든요.)
6. IRP 단점
(1) 퇴직연금 수수료를 내야 합니다. 그래서 계좌의 수익률이 낮다면, 수익보다 수수료가 클 수도 있습니다.
→ 요즘 수수료 이벤트 하는 증권사가 많으니 찾아서 가입하시면 수수료가 없습니다.
(2) IRP 중도해지 시, 세액공제 혜택 받았던 부분에 대해 다시 뱉어야 합니다. 나라에서 정한 특별한 사유를 제외하고는 말이죠.
→ 중도해지를 하지 않을 금액만 운용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참고자료 : 자영업자가 IRP를 가입해야 하는 이유
[전문가 기고] 570만 자영업자 위한 필수 노후준비 전략 - 서울파이낸스
코로나 사태로 인해 자영업자의 삶은 더 팍팍해졌을 것이다. 이분들에게 노후준비에 대해 묻는다면 \"지금 당장 사업이 어려운데 무슨 노후냐\"며 화를 내실 게 분명하다. 그러나 사업의 결과는
www.seoulfn.com
○ 참고자료 : IRP와 연금저축 비교 및 가입해야 하는 이유(박곰희TV)
댓글